-
삼성 로봇청소기 VS LG 로봇청소기 24년형 비교청소기_로봇청소기 2024. 10. 12. 17:16
삼성 로봇청소기 비스포크 AI 스팀 VR7MD97716G에 이어 LG에서도 이와 경쟁할만한 로보킹 AI 올인원 B95AWBH를 출시했다. 이에 24년형 삼성 로봇청소기 대표 모델이라고 할 수 있는 VR7MD97716G와 24년형 LG 로봇청소기 대표모델이라고 할 수 있는 B95AWBH를 중심으로 비교해 차이점을 알아보고 어느 로봇청소기가 더 나은지 분석해 보겠다.
삼성 VR7MD97716G VS LG B95AWBH 비교
상품명 삼성 비스포크 AI 스팀 LG 로보킹 AI 올인원 모델명 VR7MD97716G/H B95AWBH B95AWBTH 본체 흡입진공도 6000Pa 10000Pa 메인브러시 1개 2개 엉킴방지 그라인더 브러시 사이드브러시 1개 2개 최저 소음 65dB 55.5dB 먼지통 250ml 270ml 물걸레 회전 170RPM
압력 7N회전 180RPM
압력 4.68N물통 100ml 130ml 물걸레 리프팅 10mm 9mm 물걸레 자동탈착 O X 라이다 센서 초당 10번 회전
최대 8m 스캔초당 6번 회전
최대 6m 스캔사물인식 37가지 80가지 오염구역인식 O X 문턱등반 1.5cm 2cm 스테이션 자동먼지비움 O O 먼지봉투 2L 2.5L UV먼지봉투살균 O X 물걸레 세척 55도 실온 자동세제투입 X O 물걸레 건조 55도 43도 물걸레 살균 100도 스팀 X 물탱크 정수 4L, 오수 3.6L 정수 3L, 오수 2.5L 자동 급배수 X X O 홈모니터링 O X 음성인식 O X 크기(WxHxD)
본체
스테이션
359x100x364mm
445x457x510mm
355x106x355mm
411x497x441mm바로가기 보러가기 보러가기 보러가기 진공 청소는 LG 로봇청소기
진공 흡입 청소는 LG 로봇청소기 B95AWBH가 삼성 로봇청소기 VR7MD97716G 보다 낫다. 기본적으로 흡입력의 척도라고 할 수 있는 진공도가 삼성 로봇청소기는 6000Pa이나 LG 로봇청소기는 10000Pa로 4000Pa나 높다. LG가 흡입력이 더 높음에도 최저 소음은 삼성 보다 9.5dB 낮은 55.5dB이고, 먼지통도 20ml 더 큰 270ml로 우위에 있다. 또한 문턱 등반 가능 높이도 삼성은 1.5cm, LG는 2cm로 집안에 문턱이 높다면 삼성 보다는 LG를 추천한다.
메인 브러시는 삼성 로봇청소기가 1종이 제공되나, LG 로봇청소기는 기본 브러시와 엉킴 방지 브러시 2종이 제공되어 청소 환경에 맞는 브러시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기본 브러시의 경우 털이 있기 때문에 머리카락 엉킴이 쉽게 발생할 수 있으나 그만큼 꼼꼼한 청소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엉킴 방지 브러시는 상대적으로 가루 등의 흡입이 떨어질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흡입력이 강하기 때문에 체감상 큰 차이는 없고 오히려 엉킴이나 청소 등 브러시에 관리에 있어서는 훨씬 편리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가정환경이라면 엉킴 방지 브러시만 사용할 확률이 높다.
삼성 로봇청소기의 엉킴 방지 브러시 삼성 로봇청소기의 메인 브러시는 1종이 제공되는데 이는 모래시계 형태 구조의 엉킴 방지 브러시로 머리카락 등을 가운데로 모아 흡입하면서 그라인더로 잘게 잘라 엉킴을 방지해 준다. 그러나 삼성의 엉킴 방지 브러시든 LG의 엉킴 방지 브러시든 브러시 양쪽 끝 결합부의 엉킴은 피할 수 없기에 차라리 브러시 중앙에서 물리적으로 커팅을 해줄 수 있는 삼성의 브러시가 엉켜있는 머리카락의 길이라도 짧아지게 할 수 있기에 엉킴 방지만 놓고 본다면 삼성 로봇청소기가 조금이나마 낫다고 본다.
물걸레 청소는 삼성 로봇청소기
삼성 로봇청소기 VR7MD97716G, LG 로봇청소기 B95AWBH 모두 회전형 물걸레 방식을 사용하고 있는데 회전수에 있어서는 삼성이 170RPM, LG가 180RPM으로 삼성 로봇청소기의 물걸레 회전수가 10RPM 떨어지나 물걸레 압력은 삼성이 7N, LG가 4.68N으로 삼성이 회전수는 6% 떨어지나 압력은 33% 높다고 볼 수 있기에 종합적인 물걸레 성능은 LG 로봇청소기 보다 삼성 로봇청소기가 더 뛰어나다고 볼 수 있다.
(좌) 물걸레 리프팅, (우) 물걸레 자동탈착 삼성 로봇청소기, LG 로봇청소기 둘 다 카페트를 인식할 수 있는데 대응 방식에서 차이가 있다. LG 로봇청소기는 카페트를 인식하면 물걸레가 카페트를 적시지 않도록 물걸레를 위로 들어 올리는 물걸레 리프팅만 되는 반면에, 삼성 로봇청소기는 카페트의 모 길이를 인식해 5mm 이하 단모 카펫이면 물걸레 리프팅을, 5mm 초과 장모 카펫이면 로봇청소기가 스테이션으로 돌아가 물걸레를 아예 분리하여 준다. 참고로 물걸레 리프팅 높이에 있어서도 삼성은 10mm, LG는 9mm로 삼성 로봇청소기가 우위에 있으며, 물통 용량도 삼성이 LG 로봇청소기 보다 30ml 더 큰 130ml이다.
스마트한 청소는 삼성 로봇청소기
청소 시 똑똑한 움직임을 보일 수 있는 라이다 센서에 있어서 LG 로봇청소기는 초당 6번 회전에 최대 6m 스캔이 이루어지는 반면에 삼성 로봇청소기는 초당 10번 회전, 최대 8m 스캔으로 삼성 로봇청소기가 LG 보다 우위에 있다.
사물인식 가능 종류는 삼성 로봇청소기가 37가지인 반면에 LG 로봇청소기는 80가지로 삼성 로봇청소기 보다 2배 이상 많다. 그러나 37가지에 이미 어지간한 품목들이 대부분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80가지라고 해서 보다 나은 성능을 기대하긴 어렵다.
RGB 카메라는 삼성 로봇청소기, LG 로봇청소기 모두 있으나 삼성만 이를 통한 바닥 오염 인식이 가능하다. 오염을 인식하면 초기 청소 후 로봇청소기가 자동으로 스테이션으로 돌아가 물걸레를 고온 세척해 다시 오염 구역을 집중청소 한다. 참고로 카메라 기능을 활용해 집안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살펴볼 수 있는 홈 모니터링 기능과 음성인식을 통한 음성 컨트롤도 삼성 로봇청소기만 가능하다.
삼성 VS LG 로봇청소기 스테이션 비교
삼성 로봇청소기 VR7MD97716G, LG 로봇청소기 B95AWBH 모두 스테이션을 통한 자동먼지비움이 가능한데 먼지봉투 용량은 LG 로봇청소기의 스테이션이 삼성 보다 0.5리터 더 큰 2.5리터로 그만큼 먼지봉투 교체를 덜해도 된다는 장점을 갖는다. 반면에 삼성 로봇청소기 스테이션의 먼지봉투는 LG 보다 0.5리터 작은 2리터이나 먼지 표면을 살균해 주는 UV LED가 있어 보다 위생적으로 먼지를 보관할 수 있다.
참고로 필자는 먼지 봉투 용량이 2리터면 최대 3개월 정도를 사용할 수 있는 크기이기 때문에 봉투 내 먼지를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삼성 로봇청소기가 우위에 있다고 본다.
좌측부터 물걸레 세척, 물걸레 살균, 물걸레 건조 스테이션의 물걸레 관리에 있어서는 삼성 로봇청소기가 LG 로봇청소기 보다 확실한 우위에 있다. 물걸레 세척 시 삼성은 55도 고온 세척이 가능한 반면에 LG는 자동 세제 투입이 가능하다지만 기본적으로 찬물인 실온으로 세척을 하며, 물걸레 건조 시 바람의 온도도 삼성은 55도, LG는 43도로 삼성이 더 높다. 또한 결정적으로 삼성 로봇청소기는 100도 스팀 살균이 가능하기 때문에 물걸레의 냄새나 세균 증식 등이 걱정된다면 LG 보다는 삼성을 추천한다.
LG 로봇청소기 B95AWBTH 삼성 로봇청소기 VR7MD97716G, LG 로봇청소기 B95AWBH 모두 스테이션 내부의 물탱크는 주기적으로 채워주고 비워줘야 하는데, LG 로봇청소기 B95AWBTH는 자동 급배수 키트가 포함되어 있는 모델로 수전과 연결해 설치하면 스테이션의 물탱크에 대해 자동으로 급수와 배수가 이루어져 보다 편리한 사용이 가능하다.
참고로 스테이션 물탱크의 용량은 삼성이 LG 보다 더 큰데, 정수는 1리터 더 큰 4리터, 오수는 1.1리터 더 큰 3.6리터로 급배수 키트를 고려하고 있지 않다면 삼성 로봇청소기가 낫다고 본다.
LG 로봇청소기의 스테이션 기능이 삼성 로봇청소기의 스테이션 보다 상대적으로 부족하나 전반적인 크기는 보다 콤팩트해 가로는 34mm 작은 411mm, 깊이는 69mm 작은 441mm로(높이는 40mm 더 큰 497mm) 전체 부피는 삼성 로봇청소기 스테이션 보다 25% 작아 설치 공간에 있어서는 LG가 삼성 보다 우위에 있다.
> 삼성 VR7MD97716 보러가기 <
> LG B95AWBH 보러가기 <
> LG B95AWBTH(급배수) 보러가기 <
'청소기_로봇청소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샤크 무선 청소기 LC351KRWH, CS150KRAE, IW3241KR 비교 (0) 2024.11.28 샤오미 로봇청소기 M40, M30S, M30 PRO 비교 (0) 2024.10.15 삼성 로봇청소기 VR7MD97716G vs VR7MD96516G 비교 (0) 2024.10.08 에브리봇 로봇청소기 Q9, Q3 PLUS, Q3 차이는? (0) 2024.09.26 에브리봇 쓰리스핀 EVO, 쓰리스핀 플러스, 엣지2 비교 (0) 2024.0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