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닉스 제습기 DN4M180-NYK, DN3E170-LWK, DN2H160-IWK 비교에어컨_선풍기_제습기 2024. 5. 15. 22:31
위닉스 제습기 인기모델로는 DN4M180-NYK, DN3E170-LWK, DN2H160-IWK를 들 수 있는데, 이 세 모델은 일일제습량이 각각 18리터, 17리터, 16리터인 제습기로 일일제습량뿐만 아니라 많은 부분에서 차이가 있다. 이에 세 모델의 비교를 통해 어떠한 차이점이 있고, 가성비 위닉스 제습기는 어떤 모델인지 가려보고자 한다.
위닉스 제습기 DN4M180-NYK vs DN3E170-LWK vs DN2H160-IWK
모델명 DN4M180-NYK DN3E170-LWK DN2H160-IWK 일일제습량 18L 17L 16L 정격제습량 18.1L 18L 17.3L 제습면적 73㎡
(22.08평)73.1㎡
(22.11평)70.2㎡
(21.24평)물통용량(만수) 6.5L (6.0L) 6.5L (6.0L) 6.0L (4.5L) 수위표시창 X O O 내부자동건조 O X X 플라즈마웨이브 X X O 차일드락 X X O 에너지효율 1등급 1등급 1등급 소비전력 300W 300W 270W 크기(WxHxDmm) 383x633x287 383x633x287 367x601x288 바로가기 보러가기 보러가기 보러가기 * 위 표에서 다루지 않은 부분은 공통 사양
DN4M180-NYK, DN3E170-LWK의 일일제습량은 동일?
(좌) DN4M180-NYK, (우) DN3E170-LWK 위닉스에서 DN4M180-NYK의 일일제습량은 18리터, DN3E170-LWK의 일일제습량은 17리터로 밝히고 있는데 한국에너지공단에서 실제로 측정한 정격제습량은 DN4M180-NYK는 18.1리터, DN3E170-LWK는 18리터로 거의 차이가 없다. 그래서일까. 위닉스에서 공개하고 있는 제습면적을 살펴보면 DN4M180-NYK는 73㎡ (22.08평), DN3E170-LWK는 73.1㎡ (22.11평)으로 사실상 동일하다.
참고로 정격제습량과 제습면적이 거의 같다고 볼 수 있기에 물통 용량도 6.5리터로 동일하며, 소비전력도 300W로 일치한다. 심지어 제품 크기도 동일하다.
DN2H160-IWK의 제습량은 16리터가 아닌 17리터?
DN2H160-IWK 위닉스 제습기 DN2H160-IWK의 일일제습량은 16리터이나, 한국에너지공단에서의 측정치는 17.3리터로 DN4M180-NYK, DN3E170-LWK와 비교해서 0.7리터 정도밖에 차이가 나지 않는다. 다만 물통 용량이 문제인데 물통 전체 용량은 6리터로 다른 두 모델에 비해 0.5리터 밖에 차이가 나지 않으나 만수시 용량은 4.5리터로 무려 1.5리터나 작다. 물론 소비전력은 270W로 30W 낮아 소비전력에서 미세하게나마 유리하며, 제품 크기도 다른 두 모델에 비해 상대적으로 콤팩트하다는 장점이 있다.
일일제습량과 위생적인 관리가 중요하다면?
DN4M180-NYK 위닉스 제습기 DN4M180-NYK는 세 모델 중 가장 큰 18리터의 일일제습량을 갖고 있으며, 다른 두 모델에 없는 내부 자동 건조 기능이 있어서 제습 종료 시 자동으로 제습기 내부 습기를 5분간 건조하여 냄새나 곰팡이를 방지한다.
한 가지 아쉬운 부분이 있다면 다른 두 모델에는 있는 수위표시창의 부재인데, 만수 감지를 통한 물통 비움 표시등이 있다고는 하지만 물통에 차오르는 물을 직접 눈으로 항시 볼 수 없는 부분은 확실히 아쉽다. 그럼에도 가장 큰 일일제습량과 물통용량 그리고 위생적인 제습기의 관리를 중시한다면 DN4M180-NYK를 추천한다.
전반적인 가성비를 중시한다면?
DN3E170-LWK 위닉스 제습기 DN3E170-LWK는 앞서 설명했듯이 DN4M180-NYK 못지않은 제습량을 갖고 있다. 비록 내부 자동 건조 기능은 없으나 수위표시창이 있고, 결정적으로 세 모델 중 가장 저렴한 가격을 갖고 있어 가성비를 중시한다면 DN3E170-LWK를 추천한다.
전기요금과 작은 크기가 중요하다면?
DN2H160-IWK 위닉스 제습기 DN2H160-IWK는 다른 두 모델에 없는 공기청정 기능인 플라즈마웨이브와 영유아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차일드락이 있으나, 플라즈마웨이브는 오존이 발생되어 오존 특유의 냄새는 물론 아무리 기준치 이하의 소량이지만 찜찜한 느낌이 있어 이 부분이 신경 쓰인다면 항상 OFF를 하고 사용을 안 하게 될 수 있는 기능이다. 차일드락의 경우 가족 구성원에 따라 활용도가 높을 수 있겠으나 어디까지나 부가 기능이기에 따라서 필자는 DN2H160-IWK의 구매 포인트를 세 모델 중 가장 낮은 소비전력과 가장 작은 제품 크기에서 오는 가장 저렴한 전기요금과 뛰어난 공간 활용으로 본다.
> 위닉스 DN4M180-NYK 보러가기 <
> 위닉스 DN3E170-LWK 보러가기 <
> 위닉스 DN2H160-IWK 보러가기 <
'에어컨_선풍기_제습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일 써큘레이터 S10 vs S10 큐브 비교! (0) 2024.05.19 위닉스 제습기 DXAE120-NEK, DXTE120-MPK, DXTD120-KWK 비교 (0) 2024.05.17 위닉스 제습기 DXWE210-NGK, DXJH193-KWK, DXJE193-LMK 비교 (0) 2024.05.13 캐리어 에어컨 NRCA061CAWWSD, DARC-0061FAWSD, OARC-0061WAWSD 비교 (0) 2024.05.07 LG 에어컨 SQ06EA1WCS, SQ06BDAWBS 비교 (0) 2024.04.26